Design Story(151)
-
현대 모터스튜디오 서울
자동차와 문화. 서로 다른 것이 만나 소통하는 특별한 공간 현대자동차는 2011년 모던 프리미엄 브랜드를 표방하며 라이프스타일과 자동차가 연계된 고객 경험을 전달하려고 노력해왔는데 그 결과 영국 테이트모던 미술관과 글로벌 마케팅 파트너십을 체결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지난 5월 오픈한 현대 모터스튜디오는 현대차에서 준비한 제1호 브랜드 체험관으로 지하1층 ~ 지상6층까지의 규모로 자동차 회사의 정체성을 담은 모터와 창조, 실험의 공간을 상징하는 스튜디오를 합친 공간이다. 소비자와 공유한다는 디자인 철학과 브랜드 방향성이 반영된 예술작품, 콘텐츠, 도서관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 다가가고 있다. 각 층별로 서로 다른 테마를 선보인 현대 모터스튜디오를 지금부터 살펴보도록 하자. "현대 모터스튜디오를 방문하는 소..
2014.11.26 -
2014 파리 모터쇼
2014 PARIS MOTOR SHOW REVIEW 2014 파리 모터쇼(Mondial de l'Automobile 2014)가 프랑스 파리에서 열렸다. 10월 4일부터 19일까지 16일 동안 약 130만 명의 관람객이 다녀갔으며, 현 자동차 산업의 핫 이슈들과 향후 미래 자동차 산업의 방향을 살펴볼 수 있는 자리였다. 올해 파리 모터쇼의 특징을 정리해 보자면 효율성(Efficiency)이라는 한 단어로 정의내릴 수 있을 것이다. 2년 전 모터쇼와 비교해서도 차량 크기는 점점 더 작아지고 있었으며, 자동차 회사들은 하이브리드 및 연비 저감 차량을 경쟁적으로 선보이고 있었다. 차량의 컬러 또한 단순히 새롭기만 한 신기술이나 도료를 선보이기보다는 차량의 컨셉에 적합한 컬러와 신기술을 적용하는 것에 포커스를 ..
2014.11.24 -
다이슨에는 디자이너가 없다!
유럽의 가전회사는 네덜란드 필립스와 독일 일렉트로룩스가 유명하지만진공청소기 분야에서는 영국 다이슨이 독보적이다.다이슨은 세계 최초로 싸이클론 기술을 이용한 진공청소기와 날개없는 선풍기를 선보여서 기술적으로, 디자인적으로 전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다. Vaccums싸이클론 진공청소기 다이슨의 창립자이자 CEO인 제임스 다이슨(James Dyson)은 진공청소기의 흡입구가 자주 막히고 먼지봉투를 자주 교체해야 되는 것에 불편을 느껴 청소기를 직접 만들기 시작하여 먼지봉투가 없는 청소기를 개발하였다. 다이슨 진공청소기는 먼지봉투를 교체할 필 없이 플라스틱 통에 있는 먼지를 털어버리기만 하면 되는 편리함과 수명이 반영구적인 강력한 디지털 모터의 흡입력으로 미국, 일본, 유럽 등에서 크게 성공하였다.한국은 주거환경..
2014.09.11 -
41년동안의 핸드폰 역사
종이, 인쇄판, 전구, 나사, 나침반, 페니실린 등..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세상을 바꾼 위대한 발명품 이라는 점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현재 우리 삶에 놀라운 변화와 혁신을 가져온 새로운 발명품을 살펴보고자 한다. 바로 모바일폰. 지금 당신 손에도 들려있는 바로 그 핸드폰 !! 휴대폰의 시작과 디자인의 영향력.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새로운 창의력 까지... 불혹의 나이를 지난 휴대폰의 발자취를 지금부터 따라가보자. BEGINS DESIGN CREATE
2014.09.04 -
스칸디나비안 인테리어 디자인
북유럽 디자인이 전 세계적으로 여러 해 동안 주목받아오고 있다.국내에서도 인테리어 관련 여러 브랜드들이 북유럽 스타일을 표방하며 그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사람들은 왜 북유럽 디자인에 이리도 열광할까?이것은 단지 스타일의 관점이 아니라 그들의 사고방식과 문화를 깊이 이해하는데서 알 수 있을 것이다. 모든 것의 중심은 '빛' 스칸디나비안 스타일 인테리어에서 중요한 것은 바로 '빛'이다.북유럽은 겨울이 길고, 겨울에는 햇빛이 하루에 8~9시간 밖에 비치지 않기 때문에인테리어 디자인에서 항상 빛에 큰 중점을 둔다.가능한 한 많은 빛을 실내로 끌어들이고 반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건축에서 창문의 크기와 위치가 중요하게 고려되고 특히 부엌은 큰 창문으로 빛이 들어올 수 있도록 설계된다. 빛의 유입만큼이나 실내에서 외..
2014.08.07 -
해외 냉장고 디자인 트렌드
국내 생활가전 업계는 제품에 새 옷을 입히기 위한 디자인 전쟁이 한창이다. 이젠 내구성과 제품성능은 물론이고 다른 가전이나 가구와 잘 어울리는 디자인을 키워드로 업그레이드 시켜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CMF(Color, Material, Finishing)의 중요성 역시 커지고 있다. 이는 비단 국내 시장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각자의 문화적 특징과 생활방식 등에 따라 그에 맞는 방향성을 확립하고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냉장고 제품을 중심으로 대표적인 해외 시장의 제품별 특징을 분석해보고 이에 따른 글로벌 트렌드를 알아보고자 한다. 중국 마켓 동향 최근 중국 시장 동향은 기능, 내구성 중시의 유행 풍조에서 트렌드, 디자인, 희소성을 중시하는 풍조로 변화하고 있다..
2014.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