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TrendPulse - [Home Appliances & Mobile] CMF 트렌드 테마 제안1
그동안 개발되어 왔던 기술들이 펜데믹 이후 더 빠른 속도로 우리 사회에 스며들게 되어 4차 산업이 가속화되게 된 지금, 우리는 기술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공간과 콘텐츠를 창조하고 있지만, 또 하나의 '정서적 균형 장치'로서 자연적 감성에 대한 발견 등 삶의 균형을 이루고자 하는 인간의 움직임 또한 지속적으로 보여지고 있다. 올해 KCC 2022 Trendpulse에서는 어느 하나에 편중되지 않..
2022.02.07 09:43 -
2022 TrendPulse - [Mobility] CMF 트렌드 테마 제안1
자동차를 포함된 모빌리티 산업은 급격한 혁명기를 맞이하고 있다. 시대의 화두로 떠오른 감염병과 기후 변화라는 재난을 극복할 방편 중 하나로 손꼽 히는 모빌리티는 새로운 기술로 무장하여 이동, 주행, 배송, 물류 등을 포함 하는 거대한 개념으로 진화 중이다. 수소차와 전기차로 대표되는 새로운 이동수단과 작은 개인용 이동 수단 (PM), 그리고 공유와 자율주행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서비스가, 보다 친환경적이면서 안..
2022.02.10 08:19 -
2022 TrendPulse - [Interior] CMF 트렌드 테마 제안1
코로나 19 이후 상업공간의 위기를 비롯해 공간 생태계의 불균형이 대두되며 우리는 상업, 주거공간의 달라진 역할에 주목했다. 현재 상업공간의 비중은 코로나 이후 최저치를 찍으며 리테일 공간의 수요가 점차 줄어드는 추세에서, 반대로 주거공간은 스마트홈, 홈코노미 등 더 많은 사회적 활동과 역할을 담아내기 위한 발전을 도모하며 이를 증명했다. 이러한 상황 속, 공간을 바라보는 관점을 변화시켜야 할 시점임과 동시..
2022.02.11 13:23
-
2021 인테리어 트렌드_ 1 LAYERED
Editor. S 2021 KCC TrendPulse 인테리어 트렌드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로 인한 변곡점 [INFLECTION] 에서 큰 변화를 보이고 있는 01. 공간 역할의 변화 02. 감정의 변화 03. 시선의 변화 를 각 테마의 주요 배경으로 선정하고 그에따른 공간 스타일에 대한 이야기를 다뤄보겠다. 경험의 공간이 집 밖에서 안으로 들어오며 주거공간은 이제 안식처 그 이상의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이는 ‘집’의 모습이 점점 더 다..
-
새로워진 주방 문화_주목받는 삶의 영역
Editor. M 최근 집의 중요성이 꾸준히 강조되며 인테리어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높게 평가되어 왔다. 코로나의 등장으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며 집과 인테리어의 성장 속도가 그 어느 때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은 집을 바라보는 우리 시각이 변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쉬고 머무는 재충전의 공간이라는 일차원적 의미에서 벗어나 우리 일상이 유지되고 확대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으로 집이 재평가되기 시작하였다..
-
2021 인테리어 트렌드_3 MULTI-CULTURAL
E.ditor S 2021 인테리어 트렌드 그 마지막 이야기는 '사회적 거리두기'라는 물리적 변화가 만든 '색다른 시각'에 대한 내용이다. COVID- 19, 코로나 바이러스가 불러온 가장 큰 파장 중 하나는 바로 이동제한이었다. 지역과 지역간 그리고 국가 간 이동에 있어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전보다 이동을 자제하고 또 새로운 도전에 주춤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물리적 변화가 또 다른 기회를 가져다 주기도 했다. 밖이 아닌..
-
[Colormoa] KCC 칼라모아 2021
KCC 페인트 색상집 칼라모아 2021년 새롭게 출시된 칼라모아는 KCC 컬러&디자인센터에서 분석한 최근 건축 및 인테리어 분야의 컬러 트렌드를 토대로 제작된 컬러 가이드북이다. KCC에서 추천하는 416가지의 색상이 담겨 있으며 300가지의 추천 색상과 인테리어 추천 색상 20가지, 가장 인기 있는 KCC 건축용 페인트 상비품 색상 96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모바일을 통해 손쉽게 칼라모아의 색상을 확인할 수 있는..
-
2021 인테리어 트렌드_2 SPATIAL VACCINE
Editor.S 이미 오래전부터 언급되어왔던 현대인의 정신건강에 대한 이슈는 코로나 팬데믹이 휩쓸고 간 2020년 그 심각성이 더해지고 있다. 이번 포스팅에선 두번째 테마, SPATIAL VACCINE을 통해 코로나 바이러스 이후 우리의 라이프스타일 그리고 더 나아가 인간의 감정에 관한 이슈가 공간 디자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한다. 예상치 못한 바이러스의 장기화는 우리 내면의 감성을 건드..
-
21/22 Exterior Color Trend #01. On Balance
Editor. H KCC 2021 트렌드세미나 익스테리어 파트에서는 사회 전반의 트렌드를 바탕으로 국내 익스테리어 트렌드 컬러를 분석하고, 테마별로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엄선된 컬러를 제안한다. 올해 테마는 #On Balance #Star on Treetop #Back to the Future 의 세가지이다. 첫번째 테마 On Balance 부터 차근차근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자. Trend Background 첫번째 테마의 백그라운드는, 우리가 집을 보는 기준에 대한..
-
주방의 변화_ CMF
Editor. M 앞선 포스팅에서 공간 쓰임에 따른 주방의 형태와 트렌드 변화를 이야기했다면 이번 포스팅에선 그것이 구체화되는 컬러와 소재, 마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COLOR 우리가 무엇인가를 마주했을 때 첫인상을 좌우하는 것은 아마도 눈 앞에 놓인 형태와 컬러일 것이다. 다양한 계 뉴트럴 컬러가 집안 인테리어의 중심을 잡아주며 다른 공간과의 이질감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색의 기본 화이..
-
컬러 유니버설디자인 주차장 안전사인 배색 연구
Editor. J 컬러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안전사인 배색 연구 A Study on the Color Scheme of Safety Sign For Underground Parking Lots in Apartment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1. Introduction / 연구배경 및 목적 컬러유니버설디자인 2017 통계청 국민건강영양조사 . 안질환검사결과 국내 색약자는 전체인구의 3.3%, 실제는 이보다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인뿐 아니..